신후지역 (홋카이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후지역은 홋카이도 네무로 본선에 위치한 역으로, 후지 제지 구시로 공장 전용선 분기를 위해 1923년에 개업했다. 초기에는 원료 및 제품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후 구시로 개발 부두선의 기점, 하마구시로역 기능 이전 등을 거쳤다. 현재는 JR 홋카이도와 JR 화물의 역으로, 컨테이너 및 차급 화물을 취급하며, 오비히로, 삿포로 방면으로 고속 화물 열차가 운행된다. 역 주변에는 공장, 유통 센터, 항만 시설 등이 밀집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무로 본선 - 메무로역
메무로역은 1907년에 개업한 홋카이도 네무로 본선의 역으로, 2면 3선의 지상역이며, 특급 열차가 일부 정차하고, 메무로 정청 등 주변 시설이 있으며, 홋카이도 여객철도가 업무를 위탁받아 운영한다. - 네무로 본선 - 쇼로역
쇼로역은 1901년에 개업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으로, 단선 1면 1선 구조의 무인역이며 구시로시의 베드타운에 위치한다. - 1923년 개업한 철도역 - 군북역
군북역은 경전선에 위치한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에 있는 철도역으로, 1923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97년 새 역사 준공, 2005년 화물 취급 중단, 2012년 역사 이전 등의 변화를 거쳐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 1923년 개업한 철도역 - 함안역
함안역은 경상남도 함안군에 위치한 경전선의 철도역으로, 1923년 영업을 시작하여 2012년 역사를 이전했으며, 현재 ITX-새마을과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일본화물철도의 철도역 - 나가쓰타역
나가쓰타역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에 위치한 요코하마 선, 도큐 덴엔토시 선, 고도모노쿠니 선의 환승역으로, JR 동일본, 도큐 전철, 요코하마 고속철도가 운영하며, 요코하마 선의 특정 도구 시내 제도상 "요코하마 시내"의 서쪽 끝 지점에 해당하고, 인근에 나가쓰타 검차구가 있다. - 일본화물철도의 철도역 - 나고야역
나고야역은 JR 도카이, 나고야 임해고속철도, 나고야시 교통국 노선이 접속하고, 메이테쓰 및 긴테쓰와 환승이 가능하며, 도카이도 신칸센의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나고야 지역 교통의 중심지이자 '메이에키'라 불리는 번화가이다.
신후지역 (홋카이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역명 | 신후지 역 |
よみがな (읽는 법) | しんふじ (신후지) |
로마자 표기 | Shin-Fuji |
전보 약호 | 시후 |
역 번호 | K52 |
소재지 | 홋카이도 구시로시 신후지초 3초메 |
노선 | 네무로 본선 |
소속 사업자 | 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1면 2선 |
개업일 | 1923년 12월 25일 |
폐지일 | 해당사항 없음 |
무인역 여부 | 무인역 |
1일 평균 승차 인원 (2014년) | 42명 |
비고 | 해당사항 없음 |
노선 정보 (홋카이도 여객철도) | |
기점 | 신토쿠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169.4km |
이전 역 | K51 신오타노시케 |
역 간 거리 | 4.9km |
다음 역 | 구시로 K53 |
역 간 거리 | 2.7km |
화물역 정보 (폐지) | |
역명 (화물) | 구시로 화물역 (개칭 전: 신후지 역) |
로마자 표기 (화물) | Shin-Fuji |
소속 사업자 | 구시로 개발 부두 유베쓰 철도 |
노선 1 | 구시로 개발 부두 부두선(화물선) |
기점 1 | 신후지 |
기점으로부터 거리 1 | 0.0km |
다음 역 1 | 기타후토 |
역 간 거리 1 | 2.1km |
노선 2 | 구시로 개발 부두 서항선(화물선) |
기점 2 | 신후지 |
기점으로부터 거리 2 | 0.0km |
다음 역 2 | 니시미나토 |
역 간 거리 2 | 1.7km |
노선 3 | 유베쓰 철도 쓰루노선(화물선) |
기점 3 | 쓰루노 |
기점으로부터 거리 3 | 4.3km |
이전 역 3 | 쓰루노 |
역 간 거리 3 | 4.3km |
개업일 | 1952년 9월 11일(기타후토선) 1977년 12월 1일(서항선) 1968년 1월 21일(쓰루노선) |
폐지일 | 1984년 2월 1일(기타후토선) 1999년 9월 10일(서항선) 1970년 4월 16일(쓰루노선) |
비고 | 노선 폐지로 인해 폐역 |
2. 역사
후지 제지 구시로 공장(이후 일본제지 구시로 공장, 2021년 폐지)의 전용선 분기를 위해 개설된 역이다.[5] 초기에는 제지 원료 및 제품 운송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으나, 1923년 역과 전용선이 개설되면서 운송 효율이 크게 개선되었다. 과거에는 구시로 개발 부두선의 기점이었으며, 역 남동쪽에 소규모 조차장이 설치되어 있었다. 1989년에는 구시로항 하마구시로역의 기능이 이전되어 컨테이너 홈이 설치되기도 했다.
연도 | 날짜 | 주요 내용 |
---|---|---|
1923년 (다이쇼 12년) | 12월 25일 | 철도성 네무로 본선 오타노시케역 - 구시로역 사이에 일반역으로 개업.[6] 후지 제지 구시로 공장 전용선 3014m 운용 개시. |
1926년 (다이쇼 15년) | 11월 | 돗토리 신호기 및 전용선(돗토리 기선) 1692m 개설. |
1929년 (쇼와 4년) | 11월 | 간이 궤도 (후의 쓰루이촌영 궤도) 유키사리선 개업. |
1946년 (쇼와 21년) | 2월 10일 | 구시로 부두 창고 주식회사, 당역에서 구시로항 북부두로 부두선 (후의 구시로 개발 부두 북부두선) 부설 및 운용 개시. |
1948년 (쇼와 23년) | 5월 28일 | 유베쓰 철도 본선에서 제지 공장으로 향하는 돗토리 기선에 당역에서 돗토리 지선 접속 (통칭 "돗토리 측선"). 쓰루이촌영 궤도와 평면 교차. |
1949년 (쇼와 24년) | 9월 | 구시로 부두 창고 부두선, 당역 구내에서 돗토리 측선과 접속. |
1951년 (쇼와 26년) | 7월 1일 | 구시로 부두 창고 철도 부문이 유베쓰 탄광 철도로 양도, 부두선은 전용 철도가 됨.[3] |
1952년 (쇼와 27년) | 9월 11일 | 유베쓰 철도 부두선, 국철과 연락 운송 개시. |
1967년 (쇼와 42년) | 8월 20일 | 쓰루이촌영 궤도 (신후지 - 온네나이 구간) 폐지. |
1968년 (쇼와 43년) | 1월 21일 | 유베쓰 철도 쓰루노선 개통으로 돗토리 측선 폐지. |
1970년 (쇼와 45년) | 4월 16일 | 유베쓰 탄광 폐광으로 쓰루노선 폐지. 부두선은 구시로 개발 부두로 양도. |
1977년 (쇼와 52년) | 12월 1일 | 서항 임항선 개통.[3] |
1979년 (쇼와 54년) | 7월 15일 | 전용선 발착 외 차 취급 화물 취급 폐지.[7] |
1984년 (쇼와 59년) | 2월 1일 | 북부두선 및 십조제지·혼슈제지 전용선 폐지.[3] 수하물·화물 취급 전폐 (여객역화). |
1986년 (쇼와 61년) | 11월 1일 | 역원 무배치역화 (운전 취급 요원만 배치).[8] |
1987년 (쇼와 62년) | 4월 1일 | 국철 분할 민영화로 홋카이도 여객철도 (JR 홋카이도) 소속 역이 됨. |
1989년 (헤이세이 원년) | 8월 1일 | 하마구시로역 기능 이전, 일본화물철도 (JR 화물) 역 개업 및 화물 취급 재개. |
1995년 (헤이세이 7년) | - | 세키쇼선·네무로 본선 고속화 공사로 분기기 개량.[9] |
1997년 (헤이세이 9년) | 3월 22일 | 나카샤리역 간 트럭편 운행 개시. |
1999년 (헤이세이 11년) | 9월 10일 | 서항선 폐지. |
2011년 (헤이세이 23년) | 3월 12일 | 화물역 명칭을 구시로 화물역으로 변경.[10][11] |
역명은 후지 제지에서 유래했으며, 이미 도카이도 본선에 후지역이 존재했기 때문에 구별을 위해 '신(新)'을 붙였다.
2. 1. 신후지역 개업과 초기 발전 (1923년 ~ 1945년)
신후지역은 후지 제지 구시로 공장(이후 흡수 합병을 거쳐 일본제지 구시로 공장, 2021년 폐지)의 전용선을 분기시키기 위해 개업한 역이다.개업 이전, 후지 제지는 원료인 목재를 아칸 호반이나 아칸 강 상류 유역에서 아칸 강과 니니시베쓰 강을 통해 흘려보내 공장 취수구 부근의 육양장에서, 또 구시로 강 상류에서는 구시로 강을 이용하여 흘려보내 현재의 키타미 단지 부근에 설치한 육양장에서 마차 궤도로 공장까지 반입했다.[5] 제품 역시 니니시베쓰 강 하구의 전용 철교를 건너 현재의 하마마치 린코 도리와 유사한 경로를 통해 구시로 강 하구 부근 창고까지 마차 궤도로 운반했다.
이러한 방식은 많은 시간과 노력, 비용이 들었기 때문에, 후지 제지는 1921년(다이쇼 10년) 6월 8일 "정거장 설치 변경원"을 철도성에 제출하는 등 지속적으로 역 설치를 요청했다. 결국 용지 확보와 모든 자금을 후지 제지가 부담하는 조건으로 1922년(다이쇼 11년) 12월 18일에 허가를 받아, 1923년 (다이쇼 12년) 12월 25일에 철도성 네무로 본선 오타노시케역과 구시로역 사이에 신후지역이 일반역으로 개업했다.[6] 동시에 후지 제지 구시로 공장의 전용선 3014m도 운용을 시작했다. 이로 인해 아칸 강을 이용한 목재 운송과 마차 궤도는 폐지되었다.
또한, 같은 시기에 유베쓰 탄광 철도가 개통되자, 후지 제지는 아칸 강 유역 원목 반입을 위한 전용선 부설을 이 철도에 신청했다. 1926년(다이쇼 15년) 5월에 계약을 체결하고, 같은 해 11월에 돗토리 신호기 및 전용선(돗토리 기선) 1692m가 개설되었다.
1929년 (쇼와 4년) 11월에는 간이 궤도 (후의 쓰루이촌영 궤도) 유키사리선이 개업하여 신후지역과 연결되었다.
2. 2. 전후 확장과 변화 (1946년 ~ 1987년)
1946년 (쇼와 21년) 2월 10일, 구시로 부두 창고 주식회사가 이 역에서 구시로항 북부두로 부두선(훗날 구시로 개발 부두 북부두선)을 부설하고 운용을 시작했다.1948년 (쇼와 23년) 5월 28일, 유베쓰 철도 본선에서 제지 공장으로 향하던 돗토리 기선에 이 역에서 돗토리 지선이 접속되었다. 이후 이 둘을 합쳐 "돗토리 측선"이라 불렀으며, 쓰루이촌영 궤도와 평면 교차했다.
1949년 (쇼와 24년)에는 구시로 부두 창고 부두선 관련 시설이 증설되었고, 돗토리 측선과도 연결되어 유베쓰탄 부두 저탄장으로의 직송이 시작되었다.
1951년 (쇼와 26년) 7월 1일, 구시로 부두 창고의 철도 부문이 유베쓰 탄광 철도로 양도되면서 부두선은 전용 철도가 되었다.[3]
1952년 (쇼와 27년) 9월 11일, 유베쓰 철도 부두선과 국철 간의 연락 운송이 개시되었다.
1967년 (쇼와 42년) 8월 20일, 쓰루이촌영 궤도(신후지 - 온네나이 구간)가 폐지되었다.
1968년 (쇼와 43년) 1월 21일, 유베쓰 철도 쓰루노선이 개통됨에 따라 돗토리 측선이 폐지되었다. 이는 시가지를 통과하는 돗토리 측선에 대한 폐지 요구와, 네무로 본선의 운행 횟수 증가로 인해 네무로 본선과의 평면 교차 지점 운영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대체 노선인 쓰루노선은 시가지에서 떨어진 곳을 지나 네무로 본선을 입체 교차하는 방식으로 건설되었다.
1970년 (쇼와 45년) 4월 16일, 유베쓰 탄광이 폐광하면서 쓰루노선도 폐지되었다. 부두선은 구시로 개발 부두로 양도되었다.
1977년 (쇼와 52년) 12월 1일, 서항 임항선이 개통되었다.[3]
1979년 (쇼와 54년) 7월 15일, 전용선 발착을 제외한 차량 단위 화물의 취급이 폐지되었다.[7]
1984년 (쇼와 59년) 2월 1일, 북부두선과 십조제지(현 일본제지) 및 혼슈제지(현 오지홀딩스)의 각 전용선이 폐지되었고,[3] 동시에 수하물·화물의 취급도 전면 중단되어 여객역이 되었다.
1986년 (쇼와 61년) 11월 1일, 역원 무배치역이 되었으나, 열차 운행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운전 취급 요원은 계속 배치되었다.[8]
1987년 (쇼와 62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에 따라 홋카이도 여객철도 (JR 홋카이도) 소속의 역이 되었다.
2. 3. JR 홋카이도 및 JR 화물 시대 (1987년 ~ 현재)
1987년 (쇼와 62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에 따라 국철의 역은 홋카이도 여객철도 (JR 홋카이도)의 역이 되었다.[7]1989년 (헤이세이 원년) 8월 1일, 하마구시로역의 기능을 이전하여 일본화물철도 (JR 화물)의 역이 개업하였고, 화물 취급이 재개되었다.[7]
1995년 (헤이세이 7년)에는 세키쇼선 및 네무로 본선의 고속화 공사가 진행되면서, 해당 연도에 분기기가 탄성 분기기로 교체되었다.[9]
1997년 (헤이세이 9년) 3월 22일, 나카샤리역과의 사이에 트럭편 운행이 시작되었다.
1999년 (헤이세이 11년) 9월 10일, 서항선이 폐지되었다.
2011년 (헤이세이 23년) 3월 12일, 화물역의 명칭이 '''구시로 화물역'''으로 변경되었다.[1][10][11]
3. 역 구조
JR 홋카이도의 여객역과 JR 화물의 구시로 화물역이 함께 있는 지상역이다. 여객 승강장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승강장 남북으로 화물 열차용 선로가 지나간다.
3. 1. 홋카이도 여객철도 신후지역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갖춘 지상역이다.[13] 승강장 남북에는 화물 열차용 선로가 있으며, 구내 북쪽에 있는 출입구에서 승강장으로 가려면 육교를 이용해야 한다. 열차 접근 램프와 부저가 있다. 승강장은 북쪽부터 1번선, 2번선으로 되어 있다. 여객 열차는 원칙적으로 단선 스루 방식으로 되어 있는 1번선에 발착하며, 열차가 교행하는 경우에만 2번선을 사용한다.JR 화물의 역무원이 배치되어 있지만, 여객 창구 업무는 하지 않으므로, 여객 영업에 관해서는 구시로역 관리의 무인역이 되고 있다. 자동 발권기 등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본 역 발착 승차권에는 도카이도 본선 (도카이도 신칸센)의 신후지역과 구별하기 위해 "(근)신후지"라고 인쇄된다.
3. 2. 일본화물철도 구시로 화물역
JR 화물의 구시로 화물역은 여객역 북쪽 출구의 동쪽에 있다. 1면 1선의 컨테이너 승강장이 있으며, 컨테이너 하역선은 착발선 하역 방식(E&S 방식)을 도입한 발착선(0번선)이다. 그 외에 하역선 남쪽에도 발착선(1번선)이 있고, 여객 승강장 남쪽에는 2개의 측선(4·5번선)이 있다. 영업 창구인 JR 화물 구시로 영업소가 역 구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역은 컨테이너 화물 및 임시 차급 화물 취급역이다. 취급하는 컨테이너 화물은 JR 규격 약 3.66m, 약 6.10m, 약 9.14m 컨테이너와 ISO 규격 약 6.10m, 약 12.19m 해상 컨테이너이다. 주로 취급하는 품목은 발송 화물로 유제품, 설탕, 어패류, 종이 등이다. 탱크 컨테이너를 이용한 생우유 발송도 이루어지며, 도마코마이 화물역에서는 탱크 컨테이너로 구시로 가스로 향하는 도시 가스용 액화 천연 가스(LNG)가 도착한다.
또한, 산업 폐기물 및 특별 관리 산업 폐기물 취급 허가를 얻어, 해당 폐기물이 담긴 컨테이너의 취급도 가능하다.
4. 취급 화물
이 역은 컨테이너 및 임시 차급 화물 취급역이다.
컨테이너 화물은 JR 규격 12 피트·20 ft·30 ft 컨테이너와 ISO 규격 20 ft·40 ft 해상 컨테이너를 취급하고 있다. 취급 품목은 발송 화물로 유제품이나 설탕, 어패류, 종이 등이 주를 이룬다. 탱크 컨테이너에 의한 생우유 발송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마코마이 화물역에서 탱크 컨테이너로 구시로 가스향 도시 가스용 액화 천연가스(LNG)가 도착하고 있다.
또한 산업 폐기물·특별 관리 산업 폐기물 취급 허가를 얻어, 그것들이 들어간 컨테이너의 취급이 가능하다.
「구시로시 통계서」에 따르면, 최근 발착 화물의 추이는 다음과 같다.
5. 운행 현황
2013년3월 16일 현재의 운행 상황은 다음과 같다.
컨테이너 화차로 편성된 고속 화물 열차는 하루 3회 왕복으로 오비히로 화물역 및 삿포로 화물 터미널역 방면으로 운행되고 있다. 전용 화물 열차의 발착은 없다. 이 역은 정기 화물 열차 발착 기준으로 일본 최동단에 위치한 역이다.
트럭 운송은 하루 2회 왕복으로 나카샤리 오프레일 스테이션과 이루어진다.
「구시로시 통계서」에 따른 최근 연도별 화물 발착량(단위: 톤) 추이는 다음과 같다.
6. 역 주변
역은 홋카이도 최대의 곡물 수출입 거점인 국제 벌크 전략 항만의 배후지에 위치하며, 주변에는 공장과 유통 센터가 밀집해 있다. 역 상공에는 인접한 구시로 서항에서 일본제지 구시로 공장으로 목재 칩을 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와 C 중유를 수송하는 파이프라인이 지나간다.
주요 도로
-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336호선·국도 제392호선 중복)
- * 구시로 신도·구시로 외환상 도로
- 홋카이도도 제53호선 구시로 쓰루이 데시키카쓰 선
- 홋카이도도 제113호선 구시로 환상선
- 홋카이도도 제148호선 구시로 인터 선
- 홋카이도도 제559호선 신후지 정차장 선
- 홋카이도도 제860호선 구시로 서항 선
주변 시설
- '''공공기관 및 금융'''
- * 구시로 경찰서 도리이 파출소
- * 구시로 신후지 우체국
- * 구시로 서우체국
- * 구시로 신용금고 니시코(西港) 지점
- * 호쿠요 은행 구시로 10조(十条) 지점
- * 홋카이도 은행 도리이(鳥取) 지점
- * 홋카이도 운수국 구시로 운수 지국
- * 경자동차 검사 협회 구시로 사무소
- * 구시로 항만 건설 사무소
- '''기업 및 산업 시설'''
- * 일본통운 구시로 통괄 지점
- * 일본제지 구시로 공장
- * 도신 구시로 인쇄 (홋카이도 신문사 인쇄 공장)
- * 홋카이도 여객철도 구시로 운수 차량소
- * 일본제지 구시로 발전소 - 발전 능력 88000kW. 생산된 전력은 홋카이도 전력에 판매한다.
- * 토자이 오일 터미널 (ENEOS, 코스모 석유 합작) 구시로 유조소
- * ENEOS 구시로 서항 유조소
- * 이데미츠 코산 구시로 유조소
- * 니치레이 구시로 물류 센터
- * 구시로 시 중앙 도매 시장
- * 호쿠렌 조합 사료 니시코(西港) 공장
- * 전낙련 구시로 사무소
- * 전국 낙농 사료 홋카이도 지점·구시로 공장
- * 코프 삿포로 택배 사업 본부 구시로 센터
- * 세이코 마트 도토(道東) 지역 본부
- '''교통'''
- * 구시로 버스 "신후지 역" 정류장[17]
7. 인접역
7. 1. 홋카이도 여객철도 (JR 홋카이도)
홋카이도 여객철도 (JR 홋카이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구시로 화물역이 인접해 있다.네무로 본선을 운행하는 보통열차가 정차하며, 특급 오조라는 통과한다.
7. 2. 일본화물철도 (JR 화물)
일본화물철도(JR 화물)의 구시로 화물역은 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 네무로 본선 상에 있는 화물역으로, 여객역인 신후지역과 동일한 장소에 위치한다. 네무로 본선 상에서 신오타노시케역과 구시로역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8. 과거 존재했던 노선
; 구시로 개발 부두
: 북부두선
:: '''신후지역''' - 기타후토역
: 서항선
:: '''신후지역''' - 니시코역
; 유베쓰 철도
: 쓰루노선
:: 쓰루노역 - '''신후지역'''
참조
[1]
웹사이트
駅名改称のご案内 ~6線区8ヶ所の駅名を改称します~
http://www.jrfreight[...]
2011-03-11
[2]
문서
II 881
[3]
서적
釧路市統合年表:釧路市・阿寒町・音別町合併1周年記念
釧路市地域史研究会
2006-10
[4]
서적
停車場一覧 昭和41年3月現在
https://doi.org/10.1[...]
日本国有鉄道
1966
[5]
문서
釧路川への馬車軌道跡
http://mapps.gsi.go.[...]
[6]
간행물
鉄道省告示 第285号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디지털컬렉션
1923-12-11
[7]
서적
停車場変遷大事典 国鉄・JR編 II
JTB
1998-10-01
[8]
뉴스
通報 ●飯田線三河川合駅ほか186駅の駅員無配置について(旅客局)
日本国有鉄道総裁室文書課
1986-10-30
[9]
간행물
JR北海道における130km/h高速化
https://dl.ndl.go.jp[...]
日本鉄道電気技術協会
1997-03
[10]
간행물
駅名改称のご案内 〜6線区8ヶ所の駅名を改称します〜
https://www.jrfreigh[...]
日本貨物鉄道
2011-03-11
[11]
문서
"MONTHLYかもつ」2011年3月号 VOL.61"
鉄道貨物協会
2011-03
[12]
웹사이트
国土数値情報 駅別乗降客数データ
https://nlftp.mlit.g[...]
国土交通省
2020-09-21
[13]
서적
釧路市統合年表:釧路市・阿寒町・音別町合併1周年記念
釧路市地域史研究会
2006-10
[14]
웹사이트
平成23年釧路市統計書
http://kdb.senkon-it[...]
釧路市
2011
[15]
웹사이트
第10編 運輸・通信・電気・ガス・水道
http://www.city.kush[...]
釧路市
2016
[16]
웹사이트
第10編 運輸・通信・電気・ガス・水道
https://www.city.kus[...]
釧路市
2017
[17]
웹사이트
新富士駅(北海道)
https://www.navitime[...]
ナビタイムジャパン
2023-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